문헌록 전자족보(대동보) > 문헌록
           
1. 문헌 목록 〉13. 13世 〉18. <부정공>의금부도사수우당휘원율기적비(義禁府都事守愚堂諱元律紀績碑)
1. 문헌 목록 〉13. 13世 〉20. <부정공>돈서재기(敦舒齋記)휘시술(諱時述)
1. 문헌 목록 > 13. 13世 >  
19.<부정공>돈서재중수기(敦舒齋重修記)휘시술(諱時述)
敦舒齋重修記 成立難如昇天覆墜易如燎毛此唐臣柳玭之言也究而言之忠孝勤儉成立之本也頑率泰傲覆墜之本也爲人家子弟者曷甞須臾忘此戒哉齋故成均進士月川趙公諱時述字學而先生芬苾之所也性潭宋文敬公甞撰表有曰公書從鄭畸翁學當丙子亂與宗族鄉隣募聚兵粮督赴鄭公義陣會于礪山至于清州問媾成北向痛哭而歸專意讀書乃吟一詩曰慷慨心中事空餘老此身春秋無地讀誰識大明人噫其憂國之忠高尚之意可想像矣扁以敦叙者雲仍之私也意者慕公之大義慕公之忠孝而寓其講好修睦而名之也是齋也自鳳巖公肯搆以來屢經兵燹尚保無恙矣噫彼動亂何許鬼卒晝隱夜現火災崑崗玉石俱焚其爲齋恨莫可奈何己耳幸乎天日復明雲霧盡消則今其子孫皆以忠孝勤儉之人目見其易反省其難故詢謀僉同使東漘專任其役而不日重建己而不過十年風雨侵朽者疊見東漘又續而修之比舊制頗有加焉豈不善哉若夫山水之勝景物之富族大父一軒公記備矣不必多言而第念吾十一世祖觀水府君與公爲再從昆季而當時東義梗槩畧見於家牒故不勝曠感之私畧述如右而且欲尾附者古之視今猶今之視昔也則勿以吾事己了戒愼乎未然而隨毀隨補恐懼乎未著而革舊更新此今日眷眷之意也盍相勉乎哉屬余記者族弟容勲也 戊申七月十二日 傍裔 東勲 謹記 돈서재중수기(敦舒齋重修記) 『일으켜 세우기는 하늘에 오르는 것같이 어렵고 엎어 무너뜨리기는 털을 태우기보다 쉽다.』 한 것은 당나라 사람 유 빈(柳玭)의 말이다. 그 말의 뜻을 생각하면 충효 근검은 성립의 근본이요, 희유오만(嬉遊傲慢)은 경퇴(傾頹)의 근본이니, 사람의 자제 된 자 어찌 일찍이 잠깐사이라도 이 경계를 잊을소냐. 재 각은 고 성균 진사 월천(月川) 조공 휘 시술(時述), 자는 학이(學而) 선생을 향사한 곳이다. 성담(性潭) 송 문경공(宋文敬公)이 지은 묘표에 공이 일찍 정기옹(鄭畸翁)에게 배우다가 병자호란을 당하여 종족 향린과 더불어 의병과 군량을 모취하여 정공의 진중에 다다라 여산에 모여 청주에 이르러 화의가 성립되었다는 말을 듣고 북향 통곡하고 돌아와 뜻을 오로지 하여 글을 읽으며 이에 시 한 구절을 읊었다. 울분한 마음 가운데 일로 공연히 남은 이 몸만 늙었네 역사를 읽을 곳이 없으니 누가 대명 사람을 알리오 아! 나라를 근심한 충성과 고상과 뜻을 가히 상상하겠도다. 돈서(敦舒)로 현판한 것은 자손의 사의(私意)나 뜻은 공의 큰 뜻을 사모하고 공의 충효를 숭배하며 상호(相好)를 강론하고 돈목을 지킬 뜻을 부쳐 이름한 것이로다. 이 재는 봉암공(鳳巖公)이 선세에서 물려준 터를 이어받아 건축한 뒤로 자주 병화를 만났으나 그대로 무사하였었다. 아, 저 동란 때 괴상한 귀졸(鬼卒)이 낮에는 숨고 밤이면 나타나므로 곤륜산 등성이에 불을 붙여 옥과 돌을 함께 태우니 그것이 분한이나 어찌할 수 없는 일이었다. 다행히 하늘에 태양이 다시 밝아 구름과 안개가 다 걷히고 광명을 다시 되찾으니 이제 자손은 다 충효 근검한 사람이나 눈으로 보기는 쉽고 돌이켜 살피기는 어려운 고로 여러 종족의 협의가 합치하여 동순으로 하여금 그 작업을 전임하게 하여 기한 내에 중건하였으나 불과 十년 사이에 풍우에 젖어 파손된 곳이 있었으므로 동순이 또 수리하여 옛 제도보다 자못 새로운 것이 있으니 어찌 경하할 일이 아니겠는가. 무릇 산수의 승상과 풍경의 수려는 족대부 일헌공(一軒公)이 갖추어 기록하였으므로 많은 말이 필요 없겠다. 이제 생각하니, 나의 十一세조 관수(觀水)부군이 광과 재종 형제로 당시 동의(同義)한 사실이 보첩에 보이므로 아득히 감창한 마음을 이기지 못하여 대강 위에 기술하고 또 말미에 부언하고자 한 것은 옛 사람이 지금을 보는 것이 지금 사람이 옛을 보는 것과 같은즉 내 일을 이미 마쳤다 말고 앞날을 경계하여 헐어진 것을 보수하며 헐지 않은 곳도 살펴 옛것을 고쳐 다시 새롭게 한 것이 오늘날 성경(誠敬)을 다한 뜻이니 어찌 힘쓰지 않겠는가. 나에게 기문을 부탁한 자는 족제 용훈(容勳)이었다. 방예(傍裔) 동훈(東勳) 삼가 기록함(謹記)
 
1. 문헌 목록 〉13. 13世 〉18. <부정공>의금부도사수우당휘원율기적비(義禁府都事守愚堂諱元律紀績碑)
1. 문헌 목록 〉13. 13世 〉20. <부정공>돈서재기(敦舒齋記)휘시술(諱時述)